최근 기준금리가 3.5%로 계속 동결되어 은행 예금 금리도 더 이상 오르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더 높은 예금 이자를 찾으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은행별 예금 금리를 비교하여, 예금금리가 높은 은행이 어디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은행별 정기 예금 금리 비교
먼저, 은행별 예금 금리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2024년 1월 23일 기준으로 1년 만기 정기예금 최고 기본금리를 제공하는 은행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1금융권, 12개월 정기예금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정기예금 12개월 기준, 기본금리 높은순 | |||||
은행명 | 상품명 | 기본금리 (단리이자 %) |
최고금리 (단리이자 %) |
가입금액 | 상세조건 |
전북은행 | JB다이렉트예금 | 3.9 | 3.9 | 100만원 이상 10억원 이하 |
보러가기 |
전북은행 | JB 123 정기예금 | 3.75 | 4.05 | 100만원 이상 5억원 이하 |
보러가기 |
SH수협은행 | 헤이(Hey)정기예금 | 3.72 | 3.72 | 10만원 이상 2억원 이하 |
보러가기 |
케이뱅크 | 코드K정기예금 | 3.7 | 3.7 | 100만원 이상 | 보러가기 |
KDB 산업은행 | KDB 정기예금 | 3.6 | 3.6 | 제한없음 | 보러가기 |
1년 만기 우대조건을 포함한 최고금리를 제공하는 은행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정기예금 12개월 기준, 최고금리 높은순 | |||||
은행명 | 상품명 | 기본금리 (단리이자 %) |
최고금리 (단리이자 %) |
가입금액 | 상세조건 |
SH수협은행 | Sh첫맛남 우대예금 | 3.07 | 4.12 | 100만원 이상 1000만원 이하 |
보러가기 |
DGB대구은행 | DGB주거래우대예금 | 3.4 | 4.05 | 100만 이상 | 보러가기 |
전북은행 | JB 123 정기예금 | 3.75 | 4.05 | 100만원 이상 5억원 이하 |
보러가기 |
DGB대구은행 | DGB함께예금 | 3.5 | 3.95 | 100만원 이상 | 보러가기 |
BNK경남은행 | The 든든예금 | 2.6 | 3.9 | 100만 이상 10억원 이하 |
보러가기 |
현재 우대조건 포함 4%가 넘는 정기예금은 3개로 보입니다.
확실히 1년전에 비해 금리가 조금 내려간 분위기입니다.
예금 금리 혜택 높이는 방법
첫째로, 금리가 높은 상품을 선택하는 법으로 시중 메이저은행보다는 지역은행의 예금 금리가 조금 더 높은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금리 혜택을 높이고자 한다면 예금금리 비교를 통하여 조금이라도 더 높은 금리를 주는 은행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둘째로, 우대조건을 충족하여 최고금리로 혜택을 받는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예금 상품은 우대금리 조건이 있습니다. 이 조건을 만족하면 기본금리에 우대금리를 더한 예금 최고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우대금리 조건은 각 은행별 각 상품바다 다르지만,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습니다.
- 자동이체
- 신용카드 사용, 신용카드 실적
- 급여이체 통장
- 자녀 교육비 자동이체, 아파트관리비등 세금 자동이체
-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예금 이자 계산 방법
예금 이자 = 예금액 x 금리 x 기간 |
예를 들어, 1,000만원을 1년 동안 4%의 금리로 예금했다면 예금 이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금 이자 = 1,000만원 x 4% x 1년 = 1,000만원 x 0.04 x 1년 = 400,000만원 |
요즘은 네이버에 "금리계산기" 라고 검색하시면 세후 금액까지 알 수 있어 편리하게 이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4년 1월 예금금리가 높은 은행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현실적으로 예금 이자를 높이기 위해서는 금리가 높은 상품을 비교 선택하는 방법이 가장 나은 방법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자신에 맞는 우대조건이 있다면 같이 우대금리를 적용받는 편이 이자를 한 푼이나마 높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원 예약 어플 추천, 헷갈리지 않게 정리했습니다 (0) | 2025.04.09 |
---|---|
차용증 양식 무료 다운로드와 차용증 작성 방법 (0) | 2024.02.01 |
기초연금 수급 자격과 선정 기준 및 신청 방법 한번에 알아보기 (0) | 2023.12.17 |
기후동행카드 신청 및 혜택 알아보기 (서울,인천,김포) (1) | 2023.12.14 |
24년 국가장학금 신청기간 12월27일까지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12.13 |